블렌더 마스터하기 : Step by Step/3. 파일 관리

STEP 60. OBJ 임포트 / 익스포트

영균 2024. 7. 26. 21:00
STEP 60. OBJ 임포트 / 익스포트
STEP 59. FBX 임포트 / 익스포트 STEP 61. 에셋 브라우저⏩

  저는 OBJ 포맷을 사용할 때는 주로 지브러쉬로 파일을 가져간다던가, 베이크를 위한 하이폴 메쉬를 저장할 때 사용하곤 하는데요. 현재 블렌더의 OBJ 임포트 / 익스포트 속도는 경쟁 소프트웨어를 비교했을 때 가장 빠른 속도를 자랑합니다. (단순히 임포트, 익스포트 속도만 비교했을 때 지브러쉬 보다 빠른것 같습니다) 과거 3.0 이하 버전에서 매우 느렸던 파이썬 코드를 C++로 새롭게 작성하였습니다.



▎임포트

  기본 옵션을 건드리지 않고 그대로 임포트하면 됩니다. 다만 지브러쉬에서 폴리 그룹을 가져오려면 Vertex Groups에 체크해야 합니다. 폴리 그룹을 버텍스 그룹으로 변환하여 가져옵니다. 지브러쉬는 폴리 그룹이 페이스 기반이고, 블렌더는 버텍스 기반이라서 싱크가 100% 일치하지는 않습니다. 그 대신 이 정보를 그대로 유지하고 다시 지브러쉬로 가져간다면, 폴리 그룹이 유지됩니다.

 



▎익스포트

  블렌더는 옵션을 변경하지 않아도 버텍스 번호를 그대로 유지합니다. 다음은 각 상황에 필요한 옵션을 설명한 것입니다.

  • 선택 오브젝트만 익스포트 : Selected Only 체크
  • 버텍스 컬러 익스포트 : Colors (이 경우엔 지브러쉬와 호환되지만, 서브스턴스 페인터와는 호환되지 않습니다.)
  • UV 익스포트 제외 : UV Coordinates 체크 해제
  • 버텍스 노멀 익스포트 제외 : Normals 체크 해제
  • 머티리얼 익스포트 제외 : Material의 Export 체크 해제
  • 버텍스 그룹 익스포트 : Vertex Groups (OBJ 그룹으로 변환되고, 지브러쉬 폴리그룹과 호환 됩니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BY-NC-ND 4.0
이 저작물은 영상, 강의, 출판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비상업적 & 개인적인 용도로 블로그 스크랩 및 커뮤니티 공유(출처 표기 필수)는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