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EP 9. 와이어프레임 표시와 X-Ray 모드 | |
⏪STEP 8. 뷰포트 조작 | STEP 10. 유닛 설정⏩ |
뷰포트 오버레이
와이어프레임 이야기를 하기 전에 먼저 뷰포트 오버레이(viewport overlays)를 알고 넘어갈 필요가 있습니다. 뷰포트 오버레이는 렌더링 결과물에 포함되지 않지만, 작업에 도움을 주기 위해 뷰포트에 부가적으로 포함된 요소를 말합니다. 바닥의 그리드, 와이어 프레임, 카메라와 조명 아이콘이 모두 뷰포트 오버레이입니다.

위의 이미지처럼 뷰포트 우측 상단에 버튼이 있으며 그림 아이콘을 클릭하면 뷰포트 오버레이가 켜짐/꺼짐을 토글 합니다. 단축키는 Shift+Alt+Z 입니다. 많은 블렌더 입문자가 초기에 이 단축키를 잘못 눌러서 뷰포트 오버레이를 꺼버리게 되는데요. 당황해하며 커뮤니티에 질문 글로 왕왕 볼 수 있습니다. 여러분은 이제 이 기능을 알게 되었으니, 나중에 단축키를 잘못 눌렀을 경우 다시 뷰포트 오버레이를 켜서 문제를 해결하시면 됩니다.😊
그림 아이콘 옆에 아래 방향 화살표 버튼을 클릭하면 세부적인 옵션이 나타납니다. 자주 사용하는 옵션들이 몇 개 있는데요. 오늘은 이 주제가 주인공은 아니니 나머지 내용은 다음 시간에 이야기하도록 하겠습니다.

와이어프레임 표시
3ds MAX는 단축키 하나로 와이어프레임 켜기/끄기를 할 수 있는데 블렌더에서는 기본 단축키가 존재하지는 않습니다.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했을까요?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 대신에 장점은 와이어프레임을 보는 방식이 두 가지가 있습니다. 하나는 화면에 보이는 모든 오브젝트의 와이어프레임을 보는 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특정 오브젝트만 와이어프레임을 보는 방식입니다.
▎뷰포트 와이어프레임 표시하기
뷰포트 오버레이 메뉴 옵션에서 Geometry 항목의 Wireframe에 체크합니다.

여기서 단축키를 설정할 수 있는데요. 체크박스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고 Assign Shortcut을 선택합니다. 그리고 원하는 단축키를 입력합니다. 만약 단축키를 잘못 입력했다면, 다시 오른쪽 버튼을 누르고 Remove Shortcut을 클릭하여 단축키를 지운 다음에 다시 시도하시면 됩니다.

▎오브젝트 와이어프레임 표시하기
특정 오브젝트에만 와이어프레임을 표시하는 방법입니다. 이번엔 뷰포트 오버레이가 아닌 속성창(Properties 이하 '속성창')으로 이동합니다. 그리고 와이어프레임을 표시할 오브젝트를 선택합니다.

그다음 속성창에서 오브젝트 탭을 찾습니다. 마우스 커서를 탭 위에 올리면 이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Viewport Display 패널을 열고 Wireframe을 체크합니다.

해당 오브젝트만 와이어프레임이 표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X-Ray 모드
오브젝트를 반투명으로 보여주는 모드입니다.
▎X-Ray 모드 전환하기 Alt+Z
뷰포트 오버레이 버튼 우측에 X-Ray 모드 버튼이 있습니다. 이 버튼을 사용하거나 단축키를 사용하여 X-Ray 모드로 전환합니다.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BY-NC-ND 4.0
이 저작물은 영상, 강의, 출판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비상업적 & 개인적인 용도로 블로그 스크랩 및 커뮤니티 공유(출처 표기 필수)는 가능합니다.